
북한 수도 평양에서도 한국의 네이버·카카오페이와 같은 전자결제가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어제(7일) "세계적으로 급속히 보급되는 손전화기(휴대전화)에 의한 전자 지불 봉사가 평양에서도 주류로 돼가고 있다"며 "평양의 상업 봉사 시설들에서 상품 대금과 봉사 요금 지불을 현금으로 결제하는 구매자들의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전자지불 체계는 북한에서 '전자지갑'이라고 불리는데, 매체는 '삼흥', '전성', '만물상' 등의 전자지불 체계가 있다고도 소개했습니다.
또 지난해 10월 개업한 '화원전자은행'이 평양과 지방의 주요 백화점, 병원, 약국 등 공공장소 여러 곳에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설치했는데 이용자가 계속 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화원전자은행'은 카카오뱅크나 케이뱅크와 비슷한 인터넷은행으로 추정됩니다.
리경일 화원전자은행 과장은 조선신보에 "우리나라에서 전자결제 체계가 일반화된 조건에서 다양한 전자결제 체계에도 대응할 수 있게 자동입출금기를 개발하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반적으로 현금 결제가 줄어들면 ATM 사용률도 동반 하락하지만, 금융 인프라가 낙후한 북한은 아직 전자결제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있는 만큼 ATM을 현금과 디지털 화폐를 연결하는 징검다리로 활용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북한이 전자 결제 확산을 추진하는 것을 두고는 현금과 달리 디지털 거래가 100% 추적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해 경제·사회 통제권을 한층 강화하려는 의도도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북한 #전자결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수주(sooju@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