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제천 화재 참사…삽시간에 불 번진 이유는
<출연 : 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공하성 교수ㆍ서울디지털대학교 경찰학과 배상훈 학과장ㆍ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재난소방학과 최희천 교수>
제천에 있는 8층짜리 스포츠 센터 건물 전체로 확산된 큰 불은 안타깝게도 대형 참사로 이어졌습니다.
현재까지 29명이 숨지고 29명이 다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번 화재의 원인, 그리고 왜 이렇게 피해가 커졌는지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하성 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배상훈 서울디지털대학교 경찰학과 학과장, 최희천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재난소방학과 교수와 관련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화재 소식이 전해진 초반엔 사망자가 1명에 불과했었는데 사망자가 29명까지 늘었어요? 왜 이렇게 추가 사망자가 많아진 것입니까? 사상자가 더 늘어날 수도 있는 상황인 것인가요?
<질문 2> 사고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우선 이 건물 구조를 짚어봐야 할 것 같은데, 이 건물의 구조부터 우선 설명해주시죠.
<질문 3> 소방본부에 따르면 센터 1층 주차장(필로티 구조)에서 세워진 차량에서 불길이 시작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이 불이 8층 건물 전체로 순식간에 번진 원인은 무엇입니까? 일종의 '굴뚝효과'라고요?
<질문 4> 불이 위층에서 난 경우 그 아래층 사람들은 그나마 대피할 시간 여유가 있는데 이렇게 1층에서부터 아래서 위로 화재가 번지는 경우에는 화재현장 탈출이 더욱 쉽지 않은가 보죠?
<질문 5> 건물 구조에 이어 이 건물의 용도도 따져봐야 할 거 같은데 많은 사망자가 2층 목욕탕에서 발견된 이유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2층 목욕탕은 출입문이 사실상 고장이 난 상태였단 이야기도 있던데요? 목욕탕 구조가 미로처럼 돼 있어서 탈출하기 더 어려웠을 것이라는 추정과 통유리로 돼 있어서 피해가 커졌다는 추정도 나오던데요?
<질문 6> 이번 사고는 짧은 시간에 50명이 넘는 사상자를 낸 대형 참사입니다. 사고를 키운 이유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초동 진화 이야기도 나오던데 주차 차량 때문에 길이 막히고 이로 인해 초동 진화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질문 7> 그런데 옥상에서 시민 3명을 극적으로 구조한 것이 민간업체 사다리차라고요?
<질문 8> 이 건물의 경우 불에 매우 취약한 마감재(드라이비트)가 건물 외벽을 뒤덮고 있어 화재를 키웠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9> 화재 당시 건물에 있던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작동했는지도 의문인 상황입니다. 그런데 모든 건물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요? 11층 미만의 건축물의 경우 스프링클러 설치대상이 아니라는 것인가요?
<질문 10> 이번 같은 대형 참사는 잊을 만하면 발생합니다. 매번 문제점이 지적됐지만 이처럼 안전 불감증과 부주의가 초래한 대형 참사는 이번에도 반복 됐는데요. 특히 대형 화재의 상당수는 '인재'로 드러난 경우가 많았는데 근본적인 대책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11> 안타까운 사연들도 전해지는데 노모, 딸, 손녀 3대를 순식간에 하늘로 떠나보낸 유족도 있다고요?
<질문 12> 정부도 총력 대응에 나섰죠?
지금까지 공하성 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배상훈 서울디지털대학교 경찰학과 학과장, 최희천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재난소방학과 교수와 함께 했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공하성 교수ㆍ서울디지털대학교 경찰학과 배상훈 학과장ㆍ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재난소방학과 최희천 교수>
제천에 있는 8층짜리 스포츠 센터 건물 전체로 확산된 큰 불은 안타깝게도 대형 참사로 이어졌습니다.
현재까지 29명이 숨지고 29명이 다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번 화재의 원인, 그리고 왜 이렇게 피해가 커졌는지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하성 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배상훈 서울디지털대학교 경찰학과 학과장, 최희천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재난소방학과 교수와 관련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화재 소식이 전해진 초반엔 사망자가 1명에 불과했었는데 사망자가 29명까지 늘었어요? 왜 이렇게 추가 사망자가 많아진 것입니까? 사상자가 더 늘어날 수도 있는 상황인 것인가요?
<질문 2> 사고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우선 이 건물 구조를 짚어봐야 할 것 같은데, 이 건물의 구조부터 우선 설명해주시죠.
<질문 3> 소방본부에 따르면 센터 1층 주차장(필로티 구조)에서 세워진 차량에서 불길이 시작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이 불이 8층 건물 전체로 순식간에 번진 원인은 무엇입니까? 일종의 '굴뚝효과'라고요?
<질문 4> 불이 위층에서 난 경우 그 아래층 사람들은 그나마 대피할 시간 여유가 있는데 이렇게 1층에서부터 아래서 위로 화재가 번지는 경우에는 화재현장 탈출이 더욱 쉽지 않은가 보죠?
<질문 5> 건물 구조에 이어 이 건물의 용도도 따져봐야 할 거 같은데 많은 사망자가 2층 목욕탕에서 발견된 이유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2층 목욕탕은 출입문이 사실상 고장이 난 상태였단 이야기도 있던데요? 목욕탕 구조가 미로처럼 돼 있어서 탈출하기 더 어려웠을 것이라는 추정과 통유리로 돼 있어서 피해가 커졌다는 추정도 나오던데요?
<질문 6> 이번 사고는 짧은 시간에 50명이 넘는 사상자를 낸 대형 참사입니다. 사고를 키운 이유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초동 진화 이야기도 나오던데 주차 차량 때문에 길이 막히고 이로 인해 초동 진화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질문 7> 그런데 옥상에서 시민 3명을 극적으로 구조한 것이 민간업체 사다리차라고요?
<질문 8> 이 건물의 경우 불에 매우 취약한 마감재(드라이비트)가 건물 외벽을 뒤덮고 있어 화재를 키웠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9> 화재 당시 건물에 있던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작동했는지도 의문인 상황입니다. 그런데 모든 건물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요? 11층 미만의 건축물의 경우 스프링클러 설치대상이 아니라는 것인가요?
<질문 10> 이번 같은 대형 참사는 잊을 만하면 발생합니다. 매번 문제점이 지적됐지만 이처럼 안전 불감증과 부주의가 초래한 대형 참사는 이번에도 반복 됐는데요. 특히 대형 화재의 상당수는 '인재'로 드러난 경우가 많았는데 근본적인 대책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11> 안타까운 사연들도 전해지는데 노모, 딸, 손녀 3대를 순식간에 하늘로 떠나보낸 유족도 있다고요?
<질문 12> 정부도 총력 대응에 나섰죠?
지금까지 공하성 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배상훈 서울디지털대학교 경찰학과 학과장, 최희천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재난소방학과 교수와 함께 했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