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관세 100% 도입을 발표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 동안 미국에 생산 설비를 짓겠다고 약속하고 이행하는 기업에 한해 반도체 품목별 관세를 예외로 한다는 러트닉 미 상무장관의 추가 발언이 나왔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미 미국에 반도체 투자를 진행 중이잖아요, 고율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되는 거죠?
<질문 2>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글로벌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이 이미 118억 달러(약 16조 4천억 원) 규모의 손실을 봤으며, 손실 규모는 앞으로 더 확대될 수 있다는 월스트리트저널의 보도가 나왔습니다. 자동차 제조사들이 관세 인상으로 이익에 직격탄을 받는 이유가 뭔가요?
<질문 3> 이런 가운데, 일본에선 미국과 합의한 대로 15% 관세가 적용될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미국에서는 기존 관세에 15%를 추가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면서 비상이 걸렸었죠. 이견을 해소하기 위해 방미 중인 일본 경제재생상은 미국 측이 대통령령을 양국 간 합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수정 시기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는 상황이에요?
<질문 4> 일본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인하를 지시하는 대통령령에도 서명할 것이라는 점도 확인했다”고 전했습니다. 미일은 앞서 자동차 관세에 대해 기본세율을 포함해 15%로 타결했는데, 얼마나 변화가 있을까요?
<질문 5> 주제를 바꿔 볼게요. 정부가 지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 2주 만에 46%가량 사용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5조 7,600억원 중 2조 6,500억원이 사용됐는데, 어디에 가장 많이 쓰였을까요?
<질문 6>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소상공인 매출 증가와 국민 소비심리 개선에 뚜렷한 효과를 내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제는 이런 소비 심리 회복이 경기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책 마련이 필요해 보이는데요?
<질문 7> 부동산 시장 분위기도 볼게요.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6주 만에 다시 확대됐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8월 첫째주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은 0.14%으로 전주 상승폭 0.12%보다 커졌습니다. “매수세는 여전히 관망 중이지만, 재건축 이슈가 있는 단지와 역세권·학군지 등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면서 상승 거래가 체결됐다”는 설명이 나오는데요? 현 상황을 어떻게 봐야할까요?
<질문 8> 특히 아파트값 폭등의 진앙지였던 서울 강남과 마포·용산·성동구에서 상승률이 커지면서 6·27 부동산 대출 규제 효력이 꺾였다는 분석도 나오는데, 어떻게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영민(kkong@yna.co.kr)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관세 100% 도입을 발표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 동안 미국에 생산 설비를 짓겠다고 약속하고 이행하는 기업에 한해 반도체 품목별 관세를 예외로 한다는 러트닉 미 상무장관의 추가 발언이 나왔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미 미국에 반도체 투자를 진행 중이잖아요, 고율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되는 거죠?
<질문 2>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글로벌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이 이미 118억 달러(약 16조 4천억 원) 규모의 손실을 봤으며, 손실 규모는 앞으로 더 확대될 수 있다는 월스트리트저널의 보도가 나왔습니다. 자동차 제조사들이 관세 인상으로 이익에 직격탄을 받는 이유가 뭔가요?
<질문 3> 이런 가운데, 일본에선 미국과 합의한 대로 15% 관세가 적용될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미국에서는 기존 관세에 15%를 추가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면서 비상이 걸렸었죠. 이견을 해소하기 위해 방미 중인 일본 경제재생상은 미국 측이 대통령령을 양국 간 합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수정 시기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는 상황이에요?
<질문 4> 일본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인하를 지시하는 대통령령에도 서명할 것이라는 점도 확인했다”고 전했습니다. 미일은 앞서 자동차 관세에 대해 기본세율을 포함해 15%로 타결했는데, 얼마나 변화가 있을까요?
<질문 5> 주제를 바꿔 볼게요. 정부가 지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 2주 만에 46%가량 사용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5조 7,600억원 중 2조 6,500억원이 사용됐는데, 어디에 가장 많이 쓰였을까요?
<질문 6>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소상공인 매출 증가와 국민 소비심리 개선에 뚜렷한 효과를 내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제는 이런 소비 심리 회복이 경기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책 마련이 필요해 보이는데요?
<질문 7> 부동산 시장 분위기도 볼게요.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6주 만에 다시 확대됐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8월 첫째주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은 0.14%으로 전주 상승폭 0.12%보다 커졌습니다. “매수세는 여전히 관망 중이지만, 재건축 이슈가 있는 단지와 역세권·학군지 등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면서 상승 거래가 체결됐다”는 설명이 나오는데요? 현 상황을 어떻게 봐야할까요?
<질문 8> 특히 아파트값 폭등의 진앙지였던 서울 강남과 마포·용산·성동구에서 상승률이 커지면서 6·27 부동산 대출 규제 효력이 꺾였다는 분석도 나오는데, 어떻게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영민(kko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