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산재 사망 사고에 칼을 빼들면서 건설업계의 긴장감도 고조되고 있습니다.

건설사들은 안전 관리 매뉴얼을 재점검하는 등 분주한데요.

근본적 원인부터 뜯어고쳐야 한단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곽준영 기자입니다.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비용 절감을 위해 안전조치를 소홀히 하는 기업 행태를 문제 삼으며 콕 집어 지목한 건 건설업계였습니다.

하도급 문제를 산재 발생의 주 원인 중 하나라고도 진단했습니다.

<이재명 / 대통령> "건설현장은 누차 하도급, 재하도급 이게 또 원인이잖아요. 실제 공사비가 줄어들다 보니까 나중에는 전체 원 공사비의 절반 가까운 수준으로 떨어진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안전 조치를 할 수가 없죠."

사망 사고를 낸 포스코이앤씨에 대한 압수수색이 같은 날 이뤄진 데 이어 대통령의 거듭된 강경 발언에 건설 업계는 당혹스러운 분위기입니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 "(지금 사고 터지면) '다 죽는다' 이러고… 건설업뿐만 아니라 다른 제조업도 그렇고 물류 전체 다 (긴장 상태입니다.)"

건설업계는 일단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하거나 산재 예방 매뉴얼을 재점검하고 상시 교육을 실시하는 등 안전 관리 강화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다만 일각에선 정부가 징벌 강화에만 몰두하기보단 건설업 전반에 퍼진 근본적 문제도 손 볼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현장에서 죽음의 사슬을 끊기 위해선 최저가 입찰제와 공사기간 단축 압박, 숙련공 비중 감소 등에 대한 해결책 마련도 시급하다는 겁니다.

<이은형 /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안전에는 결국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공사비의 현실 반영과 이를 인지하는 사회적 인식의 전환 없이는 구조적인 해결이 쉽지 않습니다."

국회에선 사망사고 시 최대 1년 이하 영업정지나 매출 대비 3% 과징금 부과를 골자로 하는 건설안전특별법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3년 반이 지났음에도 산재 사망자는 줄지 않은 만큼 처벌 위주의 대책만으론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연합뉴스TV 곽준영입니다.

[영상편집 노일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곽준영(kwak_k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