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KDI가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0.8% 성장하는데 그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는데요. 지난 5월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내놓은 숫자에서 변함이 없습니다. 그 사이 새 정부가 들어서며 추경도 있었고, 한미 관세 합의도 있었는데, 경제 전망은 나아지지 않았어요?
<질문 1-1> KDI는 0%대 성장률 전망을 유지한 주된 배경으로 건설투자 부진을 꼽았는데요. 최근 6·27 대책 등 대출 규제 강화와 새 정부가 예방을 강조하는 '건설현장 안전사고' 관련 여파 등이 건설업 부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는데, 건설투자가 8%나 감소했네요?
<질문 2> 정부가 추경을 통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풀었잖아요. 2차 소비쿠폰 발행이 더 남아 있는데, 추가적인 재정 투입으로 경제성장률이 올라갈 가능성은 없나요?
<질문 2-1> 내년 성장률은 1.6%로 상반기 전망치와 동일하게 전망했는데요. 앞으로 반도체 관세 발표도 남아 있고요. 앞으로 우리 경제에 위험 요인이 될 이슈는 없을까요?
<질문 3> 7월 취업자수도 발표가 돼는데요. 17만명 가량 늘면서 2개월 연속 10만명대 증가 폭을 이어갔습니다. 취업자수가 늘었다는 건 우리 경제에 좋은 신호 아닌가요?
<질문 3-1> 취업자수는 늘었지만, 제조와 건설, 청년층의 고용 부진은 계속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20대에서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쉬었음’ 인구는 역대 최대라고 합니다. 이 같은 현상이 계속되는 이유는 뭐라고 보세요?
<질문 4> 국내 석유화학 시장 이야기 좀 해 볼게요. 국내 에틸렌 생산능력 3위 기업인 여천NCC가 부도 위기에 놓였다가 가까스로 위기에서 벗어났다고 하는데요. 산업의 ‘쌀’이라고 불리는 에틸렌 생산으로 여천NCC가 한때는 업계 연봉 1위 기업이었다고 하는데, 어쩌다 부도 위기까지 몰린 건가요?
<질문 4-1> 공동 대주주간의 갈등도 문제지만, 석유화학 산업 전체가 장기 불황으로 여천NCC를 시작으로 줄줄이 셧다운 될 수 있다며 K-석유화학이 위기라는 이야기도 있던데, 현재 어떤 상황인건가요?
<질문 5> 석유화학 산업 전반이 문제라고 한다면 정부가 이제라서 나서서 우리나라 석유화학 산업을 살려야 할 것 같은데, 어떤 대책이 나와야 할까요?
<질문 6> 온라인 숙박예약 플랫폼 업계 1,2위인 야놀자와 여기어때가 억대 과징금을 물게 됐다고 하는데, 이건 어떤 얘긴가요?
<질문 7> 정부의 6·27 대출 규제로 돈 빌리기 어려워진 사람들이 기존 예금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사람들이 늘었다고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영민(kkong@yna.co.kr)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KDI가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0.8% 성장하는데 그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는데요. 지난 5월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내놓은 숫자에서 변함이 없습니다. 그 사이 새 정부가 들어서며 추경도 있었고, 한미 관세 합의도 있었는데, 경제 전망은 나아지지 않았어요?
<질문 1-1> KDI는 0%대 성장률 전망을 유지한 주된 배경으로 건설투자 부진을 꼽았는데요. 최근 6·27 대책 등 대출 규제 강화와 새 정부가 예방을 강조하는 '건설현장 안전사고' 관련 여파 등이 건설업 부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는데, 건설투자가 8%나 감소했네요?
<질문 2> 정부가 추경을 통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풀었잖아요. 2차 소비쿠폰 발행이 더 남아 있는데, 추가적인 재정 투입으로 경제성장률이 올라갈 가능성은 없나요?
<질문 2-1> 내년 성장률은 1.6%로 상반기 전망치와 동일하게 전망했는데요. 앞으로 반도체 관세 발표도 남아 있고요. 앞으로 우리 경제에 위험 요인이 될 이슈는 없을까요?
<질문 3> 7월 취업자수도 발표가 돼는데요. 17만명 가량 늘면서 2개월 연속 10만명대 증가 폭을 이어갔습니다. 취업자수가 늘었다는 건 우리 경제에 좋은 신호 아닌가요?
<질문 3-1> 취업자수는 늘었지만, 제조와 건설, 청년층의 고용 부진은 계속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20대에서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쉬었음’ 인구는 역대 최대라고 합니다. 이 같은 현상이 계속되는 이유는 뭐라고 보세요?
<질문 4> 국내 석유화학 시장 이야기 좀 해 볼게요. 국내 에틸렌 생산능력 3위 기업인 여천NCC가 부도 위기에 놓였다가 가까스로 위기에서 벗어났다고 하는데요. 산업의 ‘쌀’이라고 불리는 에틸렌 생산으로 여천NCC가 한때는 업계 연봉 1위 기업이었다고 하는데, 어쩌다 부도 위기까지 몰린 건가요?
<질문 4-1> 공동 대주주간의 갈등도 문제지만, 석유화학 산업 전체가 장기 불황으로 여천NCC를 시작으로 줄줄이 셧다운 될 수 있다며 K-석유화학이 위기라는 이야기도 있던데, 현재 어떤 상황인건가요?
<질문 5> 석유화학 산업 전반이 문제라고 한다면 정부가 이제라서 나서서 우리나라 석유화학 산업을 살려야 할 것 같은데, 어떤 대책이 나와야 할까요?
<질문 6> 온라인 숙박예약 플랫폼 업계 1,2위인 야놀자와 여기어때가 억대 과징금을 물게 됐다고 하는데, 이건 어떤 얘긴가요?
<질문 7> 정부의 6·27 대출 규제로 돈 빌리기 어려워진 사람들이 기존 예금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사람들이 늘었다고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영민(kko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